사회 생활은 처음 시작하는 신입은 물론이고 경제적인 여유가 많지 않다면 소액으로 투자할 만한 적절한 곳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주식을 할때 투자금이 많지 않다보니 한 종목당 매수 금액이 작아서 수익률에 비해 수익금이 작은 단점이 있기도 합니다. 또한 종목을 여러개로 나누어서 담다보니 수익이 적게 되고 또 돈을 불린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
최근의 가장 주목받고 있는 방산주와 식품주를 보면 면디비아라고도 불리우는 삼양식품의 경우 160만원대를 향해 가고 있는것만 보아도 3년만에 16배 이상 급등을 하면서 1억을 넣었으면 16억이 되었을 거라는 애기도 있습니다. 200만원까지 갈것이라는 애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사회 초년생의 경우는 한 주를 사기에도 버거울 수 있겠죠. 그렇다면 상장지수편드(ETF)를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ETF는 1990년 캐나다에서 처음 등장했는데요. 토론토 35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었습니다. 이 상장지수편드(ETF)란 말 그대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 놓은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최근에는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ETF 외에도 배당주나 거치주 등 다양한 스타일을 추종하는 ETF들이 상장되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진입 장벽이 낮아서 청년층에게 현실적인 자산 축적 수단으로 환영받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20-30대의 공통점은 투자 여력은 작지만 자산을 불릴 시간은 상대적으로 길다는게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죠. 한정된 자금으로 개별 종목에 투자하면 시장 변동성에 그대로 노출되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은 월 투자금액 50만원을 기준으로 50%는 미국 대표 지수형 상품에 투자하고 10%는 고위험 고수익의 액티브 ETF에, 그리고 나머지 20%는 각 각 국내지수 추종 커버드콜 상품,미국 채권에 투자해 안정성을 높이는 포트폴리오를 추천했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포트폴리오는 ▷KODEX 미국S&P500 50%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10%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20% ▷KODEX 아이셰어즈 미국하이일드액티브 20%로 구성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당장의 수익보다 장기적인 투자로 자산을 불리는것을 목표로 하는 것인데요. 이 ETF는 시드머니를 축적하고 은퇴자금 마련이 중요한 사회 초년생들에게 필수라고 할수 있고 S&P500 같은 대표 지수와 채권형 ETF에 분산투자하면서 자산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투자전문가들은 애기합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은 글로벌 증시의 중심으로 불리는 미국 S&P500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KODEX 미국S&P500은 이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 가운데 하나로 지난 15년간 477% 상승하며 코스피200 97%, 중국 CSI300 22%를 크게 앞섰습니다. 혁신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 집중돼 있어 글로벌 금융위기나 코로나19 국면에서도 꾸준히 우상향했었습니다.
또한 테마형·배당형 ETF를 활용하면 초과 성과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KODEX 미국 AI 전력 핵심인프라는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와 미국 전력 인프라 교체 수요 확대에 따른 장기 성장성이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2025년 20~40% 급증하고 2035년에는 2024년 대비 30배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라고 합니다. AI 확산과 인프라 교체라는 구조적 요인에 기반해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적립식 투자에 적합한 종목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그리고 커버드콜이라는, 주식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해 옵션 프리미엄을 얻는 전략이 있는데요 상승장에서는 수익이 제한되지만 안정적인 분배금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원래 은퇴세대를 겨냥한 상품이었지만 젊은층에서도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매월 고정적인 분배금이 심리적 안정성을 준다는 이유입니다.
투자금이 1억이 넘는 고액이라면 과감하게 한 종목에 투자하기가 정말 힘들 것입니다. 소액 투자이기에 가능한 고위험 고배당 투자, 소액이기에 가능하다고 할수 있는 고위험 ETF 투자입니다.
자료 출처/네이버
케이 뱅크 소상공인 여행 지원금 (0) | 2025.09.03 |
---|---|
건강보험공단 환급금 (2) | 2025.08.26 |
테슬라 모델 YL(롱베이스)출시! (0) | 2025.08.20 |
55세부터 사망보험금을 연금처럼! (0) | 2025.08.19 |
임영웅 2025 콘서트 일정과 예매 티켓팅 방법 (10) | 2025.08.18 |